7 분 소요

✨원형 리스트

📖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

📍 원형 리스트

원형 리스트는 연결 리스트에서 꼬리 노드가 머리 노드를 가리키는 것이다. 즉 연결 리스트에서는 꼬리 노드의 포인터가 null 이었다면, 원형 리스트에서 꼬리 노드의 포인터는 머리 노드이다.

  • ListNode 클래스

      class ListNode {
      String data;
      ListNode next;
    
      public ListNode() {
          this.data = null;
          this.next = null;
      }
    
      public ListNode(String data) {
          this.data = data;
          this.next = null;
      }
    
      public ListNode(String data, ListNode next) {
          this.data = data;
          this.next = next;
          this.next = null;
      }
    
      public String getData() {
          return this.data;
      }
    }
    
  • LinkedList<E> 클래스

    public class copyCircleLinkeList {
    private ListNode head;
    
    public copyCircleLinkeList() {
        this.head = null;
    }
    
    //...메서드 추가
    

📍 원형 리스트의 특징

원형 리스트의 경우, 꼬리 노드가 결국 머리 노드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마지막 노드를 삽입하는 것이 곧 리스트의 첫 번째에 노드를 삽입하는 것과 같습니다.

📍 addLast() 메소드

// 꼬리 노드에 삽입
  public void addLast(String str) {
      ListNode node = new ListNode(str);
      if (head == null) {
          head = node; // 리스트 새로운 노드를 추가
          node.next = node; // 새 노드의 다음 노드가 자기 자신을 가리키게 하여 원형 연결 리스트를 만듬
      } else {
          ListNode current = head; // 첫 번째 노드에 대한 참조값을 current변수에 넣는다.
          while (current.next != head) { // 꼬리 노드까지 이동
              current = current.next;
          }
          // current = 꼬리 노드
          node.next = current.next; // current.next는 헤드 노드이므로 꼬리 노드의 다음 노드를 헤드로 연결
          current.next = node;
      }
  }

📍 addFirst() 메소드

// 첫번째 노드에 삽입
public void insertFirstNode(String str) {
    ListNode node = new ListNode(str);
    if (head == null) {
        head = node;
    } else {
        ListNode current = head;
        while (current.next != head) {
            current = current.next;
        }
        node.next = current.next;
        current.next = node;
        head = node;
    }
}

addLast() 와 거의 동일하고 마지막에 헤드 부분의 연결 노드만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원형 리스트는 내가 몇 번째 노드를 제일 마지막으로 보느냐의 차이이고, 추가할 때는 마지막 노드에 추가하는 것처럼 해도 된다.

📍 add() 메소드

// 노드 삽입
public void add(ListNode pre, String str) {
    ListNode node = new ListNode(str);
    if (head == null) {
        head = node;
    } else {
        ListNode current = head;
        while (current.next != pre) {
            current = current.next;
        }

        current = current.next; // current.next는 pre노드와 같았는데, 이 코드를 통해서 결국, current는 pre노드가 됨.
        node.next = current.next;
        current.next = node; //
    }
}

📍 removeLast() 메소드

// 마지막 노드 삭제
  public void removeLast() {
      if (head == null) {
          System.out.println("삭제할 노드가 없습니다.");
      } else {
          ListNode prev = head;
          ListNode current = head.next;
          while (current.next != head) {
              prev = current;
              current = current.next;
          }
          prev.next = current.next;
      }
  }

📍 removeFirst() 메소드

// 첫 번째 노드 삭제
  public void removeFirst() {
      if (head == null) {
          System.out.println("삭제할 노드가 없습니다.");
      } else {
          ListNode current = head;
          while (current.next != head) {
              current = current.next;
          }
          ListNode old = current.next;
          head = old.next;
          current.next = head;
      }
  }

📍 remove() 메소드

// 중간 노드를 삭제
public void remove(String str) {
    ListNode node = new ListNode(str);
    if (head == null) {
        System.out.println("삭제할 노드가 없습니다.");
    } else {
        ListNode prev = head;
        ListNode current = head.next;
        while (current.data != node.data) {
            prev = current;
            current = current.next;
        }
        prev.next = current.next;
    }
}

📖 이중 연결 리스트

연결 리스트의 큰 단점은 다음 노드를 찾기는 쉽지만, 앞쪽의 노드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단점을 개선한 자료구조가 이중 연결 리스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중 연결 리스트는 3개의 필드가 있는 클래스 Node를 사용한다.

class Node<E> {
    E data;
    Node<E> prev;
    Node<E> next;
}

📖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

  • Node 클래스

    //노드
    class Node<E> {
        private E data;
        private Node<E> prev;
        private Node<E> next;
    
        //Node<E> 생성자
        Node() {
            data = null;
            prev = next = this;
        }
    
        //Node<E> 생성자
        Node(E obj, Node<E> prev, Node<E> next) {
            data = obj;
            this.prev = prev;
            this.next = next;
        }
    }
    
    1. Node() 자기 자신의 노드가 앞쪽 노드이면서 동시에 다음 노드가 된다.
    2. Node(E obj, Node prev, Node next) 데이터 obj 앞쪽 포인터가 prev이고 뒤쪽 포인터가 next이다.
  • DbLinkedList 클래스

    public class DbLinkedList<E> {
    //노드
    
    /*
    Node<E> 클래스
    */
    
    private Node<E> head;
    private Node<E> crnt;
    
    //DbLinkedList<E>의 생성자
    public DbLinkedList() {
        head = crnt = new Node<E>(); //더미 노드 생성
    }
    
    1. head : 머리 노드
    2. crnt : 선택 노드
    3. 생성자 : head와 crnt가 가리키는 곳은 더미노드로, 자기 자신을 가리키도록 초기화합니다. 더미 노드는 노드의 삽입과 삭제 처리를 원활하게 하도록 도와줍니다.
  • isEmpty() 메소드

    //리스트가 비어 있는가
    public boolean isEmpty() {
        return head.next == head;
    }
    

리스트에 더미 노드만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하는 메소드이다. 만약에 리스트에 더미 노드만 있다면 head.next가 가리키는 곳과 head가 가리키는 곳이 같을 것이다. 여기서 더미 노드만 있다면 그 리스트는 빈 리스트라는 것이므로 true 를 반환하고, 빈 리스트가 아니라면 false 를 반환한다.

📍 search 메소드

//노드를 검색
public E search(E obj, Comparator<? super E> c) {
    Node<E> ptr = head.next;                  //현재 스캔 중인 노드

    while (ptr != head) {
        if (c.compare(obj, ptr.data) == 0) {
            crnt = ptr;
            return ptr.data;                 //검색 성공
        }
        ptr = ptr.next;                      //다음 노드로 선택
    }
    return null;                             //검색 실패
}

연결 리스트의 search 메소드와 유사하다. 하지만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에는 더미 노드가 있기 때문에 검색을 해야되는 시작 부분은 head.next 라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연결 리스트일때는 ptr != null 일때까지 조사를 했지만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의 경우는 포인터가 null인값이 없으므로 더미 노드를 가리키는 순간이 처음으로 돌아왔다는 뜻이다.

📍 printCurrentNode() 메소드

// 선택 노드를 출력
public void printCurrentNode() {
    if (isEmpty()) {
        System.out.println("선택 노드가 없습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crnt.data);
    }
}
  • 연결 리스트의 경우 if문 조건 : crnt == null
  •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의 경우 if문 조건 : isEmpty()

📍 dump() 메소드

// 모든 노드를 출력
public void dump() {
    Node<E> ptr = head.next;

    while (ptr != head) {
        System.out.println(ptr.data);
        ptr = ptr.next;
    }
}
  • 연결 리스트의 경우
    • 현재 검색 중인 노드 : Node ptr = head;
    • while 문 조건 : ptr != null
  •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의 경우
    • 현재 검색 중인 노드 : Node ptr = head.next;
    • while 문 조건 : ptr != head

🌟 dumpReverse() 메소드

// 모든 노드를 거꾸로 출력
public void dumpReverse() {
    Node<E> ptr = head.prev;

    while (ptr != head) {
        System.out.println(ptr.data);
        ptr = ptr.prev;
    }
}

연결 리스트의 경우 앞쪽을 참조할 수 있는 포인터는 없었으므로 없을 수 밖에 없던 메소드! 하지만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에서는 앞쪽 노드를 참조할 수 있는 포인터도 있기 때문에 이런 메소드를 만들 수 있다.

📍 next() 메소드

// 선택 노드를 하나 뒤쪽으로 이동
public boolean next() {
    if (isEmpty() || crnt.next == head) {
        return false;
    }
    crnt = crnt.next;
    return true;
}
  • 연결 리스트의 경우 if문 조건 : crnt == null   crnt.next == null
  •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의 경우 if문 조건 : isEmpty()   crnt.next == head

🌟 prev() 메소드

// 선택 노드를 하나 앞쪽으로 이동
public boolean prev() {
    if (isEmpty() || crnt.prev == head) {
        return false;
    }
    crnt = crnt.prev;
    return true;
}

이 메소드 역시 마찬가지 앞쪽을 참조하는 경우이므로 연결 리스트에는 없었다가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의 특징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메소드.

🌟add() 메소드

// 선택 노드의 바로 뒤에 노드를 삽입
public void add(E obj) {
    Node<E> node = new Node<E>(obj, crnt, crnt.next);
    crnt.next = crnt.next.prev = node;
    crnt = node;
}

crnt.next(node가 위치될 곳)을 node로 대입시키고, crnt.next.prev(node의 앞쪽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을 node로 대입시킴,,

💡 addFirst(E obj) 메소드

// 머리에 노드를 삽입
public void addFirst(E obj) {
    crnt = head;
    add(obj);
}

즉 예를 들어서 리스트에

더미 노드 -> A 가 있는데 노드 B를 처음에 추가시키고 싶다면
선택 노드를 head로 바꾸고 add(추가할 노드) 메소드를 호출
노드 B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이 노드의 앞쪽 노드는 head이고, 뒤쪽 노드는 노드 A인 상태
그리고 crnt.next가 가리키는 것은 head 뒤쪽 노드를 가리키며 이게 추가할 노드 B가 됨. 그리고 crnt.next.prev라는 것은 노드 A의 앞쪽 노드가 추가할 노드 B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선택 노드는 추가된 노드로 바꿔줌.

💡 addLast(E obj) 메소드

// 꼬리에 노드를 삽입
public void addLast(E obj) {
    crnt = head.prev;
    add(obj);
}

에를 들어서 리스트에

더미 노드 -> A 가 있는데, 노드 B를 제일 뒤에 추가시키고 싶다면
선택 노드를 head의 앞쪽 노드 즉, 꼬리 노드로 바꾸고 add(추가할 노드) 메소드를 호출
노드 B의 인스턴스를 만들면, 앞쪽 노드는 (전)꼬리 노드가 되고, 뒤쪽 노드는 더미 노드가 된다.
그리고 crnt.next((전)꼬리 노드의 뒤쪽 노드)가 가리키는 노드를 추가한 노드 B로 만들고, crnt.next.prev(더미 노드의 앞쪽 노드)가 가리키는 노드를 노드 B로 만들어 준다.

🌟 remove() 메소드

💡 removeCurrentNode() 메소드

// 선택 노드를 삭제
public void removeCurrentNode() {
    if (!isEmpty()) {
        crnt.prev.next = crnt.next;
        crnt.next.prev = crnt.prev;
        crnt = crnt.prev;
        if (crnt == head)
            crnt = crnt.next;
    }
}

현재 선택 노드의 노드를 삭제하고자 하는 메소드이다. 삭제하고자 하는 노드를 crnt로 두고, crnt의 앞쪽 노드와 뒤쪽 노드를 연결시켜주면 된다.

💡 remove(Node p) 메소드

// 노드 p를 삭제
public void remove(Node<E> p) {
    Node<E> ptr = head.next;

    while (ptr != head) {
        if (ptr == p) {
            crnt = p;
            removeCurrentNode();
            break;
        }
        ptr = ptr.next;
    }
}

노드 p를 삭제하고 싶으므로 삭제하고 싶은 노드를 선택 노드로 해주고, removeCurrentNode() 를 호출해준다.

💡 removeFirst() 메소드

// 머리 노드를 삭제
public void removeFirst() {
    crnt = head.next;
    removeCurrentNode();
}

마찬가지로 첫 번째 노드를 삭제하고 싶으므로 선택 노드를 머리 노드로 바꾸어 준다.

💡 removeLast() 메소드

// 꼬리 노드를 삭제
public void removeLast() {
    crnt = head.prev;
    removeCurrentNode();
}

마찬가지로 첫 번째 노드를 삭제하고 싶으므로 선택 노드를 꼬리 노드로 바꾸어 준다.

// 모든 노드를 삭제
public void clear() {
    if (!isEmpty()) {
        removeFirst();
    }
}

댓글남기기